맨위로가기

페레코프 지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레코프 지협은 흑해와 아조프해 사이에 위치한 좁은 지협으로, 크림반도와 우크라이나 본토를 연결하는 전략적 요충지이다. 역사적으로 다양한 민족과 국가의 지배를 받았으며, 고대부터 요새화되어 중요한 군사적 거점으로 활용되었다. 15세기에는 제노바 공화국의 식민지였으며, 1783년 러시아 제국에 병합되었다. 1954년에는 크림반도와 함께 우크라이나로 이관되었다. 2014년 러시아의 크림 합병 이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분쟁 지역이 되었으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 러시아군의 주요 통로로 이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럽의 지협 - 카렐리야 지협
    카렐리야 지협은 핀란드와 러시아 사이에 위치하며 렘볼로보 고지를 최고점으로 하고, 부오크시 강이 라도가 호로 흘러 지협을 양분하며, 11세기부터 지배권 경쟁이 있었고, 펄프 및 제지, 목재 산업이 발달하고, E18 고속도로, 사이마 운하, 여러 철도가 지나가는 지역이다.
  • 유럽의 지협 - 코린토스 지협
    코린토스 지협은 그리스 본토와 펠로폰네소스반도를 잇는 좁은 땅으로, 코린토스 운하가 있으며 고대에는 이스트모스라 불리며 교역 중심지이자 이스트미아 제전 개최지였다.
  • 크림반도의 지형 - 투즐라섬
    투즐라섬은 케르치 해협에 위치하며 폭풍으로 형성되어 우크라이나에 속했으나, 투즐라 분쟁과 크림반도 합병 이후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며 크림 대교 건설에 사용되고 있다.
  • 크림반도의 지형 - 크림산맥
    크림산맥은 흑해 연안에 약 180km 뻗어 있는 산맥으로, 세 개의 주요 산계와 고원 지형인 야일라를 포함하며, 쥐라기 시대 퇴적암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동식물 서식지이자 역사적 유적을 품고 있다.
페레코프 지협
지리
위치크림 반도와 우크라이나 본토 사이
길이약 30km
5~7km
행정 구역
국가우크라이나
지역크림 자치 공화국
역사
역사적 중요성크림 반도로의 유일한 육상 통로, 역사적으로 군사적 요충지
고대 명칭 (그리스어)Ταφρος (Taphros, "해자"라는 의미)
역사적 요새페레코프 요새
지리적 특징
주요 호수시바시 호수
주요 정착지수보로베 (크림 반도)
기타 명칭
우크라이나어Переко́пський переши́йок (Perekops'kyi pereshyiok)
러시아어Переко́пский переше́ек (Perekopskiy peresheek)
크림 타타르어Or boynu (오르 보이누)
터키어Orkapı (오르카프)
그리스어Τάφρος (타프로스)

2. 지리

페레코프 지협은 서쪽으로는 흑해에, 동쪽으로는 아조프해에 접해 있다. 우크라이나 본토와 크림반도 사이의 아조프해는 시바시(시바쉬, 스바쉬라고도 함)로 동서로 길게 뻗어 있으며, 동쪽의 아라바트 사주에 열린 게니체스크 해협으로 아조프해 본류와 연결되어 있다. 매우 얕은 갯벌인 시바시는 염분 농도가 매우 높고 해저에는 진흙이 쌓여 있으며, 여름에는 심한 악취가 나는 수역으로 교통을 방해한다. 이 때문에 서쪽 끝에 있는 좁은 페레코프 지협만이 통행할 수 있는 곳이 되었다. 시바시의 동쪽에는 시바시를 동서로 나누는 좁은 Chongar Strait|촌가르 해협영어(Чонгарський півострів|총가르 반도uk)가 있으며, 현재 이곳에도 철도와 간선도로가 지나가는 다리가 놓여져 있다.

우크라이나 본토 남쪽 끝의 헤르손주와 크림반도 사이의 경계선은 페레코프 지협의 북부를 통과한다.

2. 1. 주요 도시 및 시설

페레코프 지협에 있는 주요 마을은 Армянськ|알먄스크uk, Красноперекопськ|크라스노페레코프스크uk, 페레코프 마을 등이다. 과거에 존재했던 Перекоп|페레코프 시ru1920년 전투로 괴멸되어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그 외에도 과거에 이 지협에 존재했던 마을 중 하나로 Чирки (Крым)|칠키ru가 있으며, 원래는 '''부유크 수나크'''(Büyük Sunaq|부유크 수나크crh, Буюк Сунак|부유크 수나크uk)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지협에는 도로와 철도 외에도 드니프로강의 물을 크림반도로 보내는 북크림 운하도 지나가며, 크림반도로의 육상 교통, 물류 및 수도 공급의 생명선이 되고 있다. 페레코프 남쪽에서는 소금을 채취할 수 있으며, 현재도 이 지역에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주고 있다.

3. 역사

페레코프 지협은 전략적, 상업적 가치가 높아 크림 반도로 가는 관문 역할을 했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치열한 전투가 벌어지는 장소였다. 고대부터 그리스인들과 크림 타타르족이 이 지역을 요새화했다.[2][3] 15세기에 제노바 공화국의 식민지가 되기도 했다. 1783년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고, 1954년에는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이관되었다.

1920년 러시아 내전 당시 표트르 니콜라예비치 브란겔이 이끄는 백군과 붉은 군대 사이에 전투가 벌어져 붉은 군대가 승리했다. 이로 인해 14만 명의 민간인이 이스탄불로 피난했다.[2][3]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에리히 폰 만슈타인 지휘 하의 독일군과 루마니아군 연합군이 이 지협을 통해 크림 반도로 진입했다. 1941년 9월 24일부터 5일간 전투가 벌어져 추축군이 지협을 확보했고, 이후 세바스토폴 전투로 이어졌다. 1944년 5월 9일, 붉은 군대가 크림 반도를 탈환했다.

2014년 3월 2일, 러시아군이 지협을 가로질러 크림 반도와 우크라이나 본토 사이의 국경을 따라 참호를 팠다는 보도가 나왔다.[4] 이후 이곳은 러시아가 통제하는 크림 반도와 우크라이나 사이의 사실상의 국경이 되었다. 2022년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침공을 통해 국경을 넘어 우크라이나 본토 지역을 일방적으로 병합했다.

3. 1. 고대 및 중세

페레코프 지협은 전략적, 상업적 가치가 높고 크림반도로 가는 관문이라는 전략적 가치 때문에 고대부터 치열한 전투가 벌어지는 곳이었다. 고대부터 비잔틴 시대까지 그리스인들이 이 지역을 요새화했고, 그 후 크림 타타르족도 요새화했다.[2][3] 15세기에 이 지역은 해상 국가인 제노바 공화국의 식민지가 되었다. 스트라본은 이 지협을 "이스트무스"( "지협"의 뜻)라고 불렀고, 제노바인은 "즈하노", 크림 타타르족은 "오르"(해자, 해자)라고 불렀다.

크림 칸국은 페레코프 지협을 가로지르는 요새선을 구축하고, 그 문이 되는 장소에 오르-카프 요새(페레코프 요새)를 두었다. 이 요새는 크림반도와 러시아, 폴란드 간의 무역, 크림반도나 오스만 제국에서 필요로 하는 백인 노예 거래, 지협 남부에서 채취되는 소금 생산으로 매우 번영했다. 한편 우크라이나 코사크의 습격도 여러 번 받았다.

페레코프 보루의 유적. 길이 8,475미터에 걸쳐 페레코프 지협을 가로지르는 깊이 10미터 이상의 해자.

3. 2. 러시아 제국 시대

15세기에 이 지역은 해상 국가인 제노바 공화국의 식민지가 되었다. 1783년 이 지역은 러시아 제국의 일부가 되었고, 페레코프는 타브리야 의 군 중심지가 되었다.[2][3]

3. 3. 소련 시대

1920년 11월, 러시아 내전 당시 크림반도를 장악하고 있던 표트르 니콜라예비치 브란겔의 백군과 붉은 군대 사이에 전투가 벌어졌다. 붉은 군대가 승리했지만, 14만 명의 민간인이 흑해를 건너 이스탄불로 피난했다.[2][3]

제2차 세계 대전 중, 에리히 폰 만슈타인의 지휘 하에 독일군과 루마니아군의 연합군은 페레코프 지협을 통해 크림 반도로 진입했다. 1941년 9월 24일부터 5일 동안 지협 전투가 지속되었고, 추축군이 지협을 확보했다. 10월 27일, 추축군은 크림 반도 내로 더 진격하여 세바스토폴 전투로 이어졌다. 1944년 5월 9일, 붉은 군대가 크림 반도의 통제권을 되찾았다.

1954년 소련 중앙 정부는 크림반도를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이관하였고, 이때 페레코프 지협도 우크라이나 영토가 되었다.

3. 4. 소련 붕괴 이후

소련의 붕괴 이후 독립한 우크라이나는 페레코프 지협의 남북을 지배했지만, 러시아 연방은 2014년 크림반도에 거주하는 친러시아파와 협력한 하이브리드 전쟁을 거쳐 러시아의 크림 합병을 선언했다. 우크라이나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지협을 사이에 두고 러시아와 대립했다.[4]

3. 4. 1. 2014년 크림 위기

2014년 3월 2일, 러시아군이 지협을 가로질러 크림반도와 우크라이나 본토 사이의 국경을 따라 참호를 파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4] 얼마 지나지 않아, 이는 2022년 2월 24일까지 러시아가 통제하는 크림반도와 나머지 우크라이나 간의 사실상의 국경이 되었고, 이때 러시아군은 우크라이나 침공 중에 국경을 넘어 인접한 우크라이나 본토 지역을 일방적으로 병합했다.

소련의 붕괴로 독립한 우크라이나는 지협의 남북을 지배했지만, 러시아 연방은 2014년 크림반도에 거주하는 친러시아파와 협력한 하이브리드 전쟁을 거쳐 러시아의 크림 합병을 선언했다. 우크라이나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지협을 사이에 두고 러시아와 대립했다.

3. 4. 2.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 러시아 연방군은 페레코프 지협을 통과하여 북쪽의 우크라이나 본토인 헤르손주로 진격했다(우크라이나 남부 공세).[5]

같은 해 여름 이후, 우크라이나군은 반격에 나섰으며, 영국 국방부가 2023년 6월 21일 발표한 분석에 따르면, 러시아는 알먄스크 북쪽에 길이 9km의 방어선을 구축하며 우크라이나군에 대비하고 있다.

4. 명칭

그리스어 "타프로스"는 아조프해흑해 사이에 파인 방어용 참호를 의미하며, 같은 이름을 가진 도시도 그 근처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1] 크림 타타르어 이름 "오르 카피"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크림 타타르어로 "오르"(or)는 "참호", "카피"(qapı)는 "문"을 의미한다. 슬라브어 "페레코프"(Perekop)는 문자 그대로 참호를 의미한다.

5. 현재 상황

페레코프 지협은 서쪽으로는 흑해, 동쪽으로는 아조프해에 접해 있다. 우크라이나 본토와 크림반도 사이의 아조프해는 시바시(시바쉬, 스바쉬라고도 함)로 동서로 길게 뻗어 있으며, 동쪽의 아라바트 사주에 열린 게니체스크 해협으로 아조프해 본류와 연결되어 있다. 시바시 동쪽에는 시바시를 동서로 나누는 좁은 Chongar Strait|총가르 해협영어(Чонгарський півострів|총가르 반도uk)가 있으며, 현재 이곳에도 철도와 간선도로가 지나가는 다리가 놓여져 있다.

우크라이나 본토 남쪽 끝의 헤르손주와 크림반도 사이의 경계선은 페레코프 지협의 북부를 통과한다. 페레코프 지협에 있는 주요 마을은 Армянськ|알먄스크uk, Красноперекопськ|크라스노페레코프스크uk, 페레코프 마을 등이다. 과거에 존재했던 Перекоп|페레코프 시ru1920년 전투로 괴멸되어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지협에는 도로와 철도 외에도 드니프로강의 물을 크림반도로 보내는 북크림 운하도 지나가며, 크림반도로의 육상 교통, 물류 및 수도 공급의 생명선이 되고 있다. 페레코프 남쪽에서는 소금을 채취할 수 있으며, 현재도 이 지역에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주고 있다.

참조

[1] 서적 The Crimea: Its Ancient and Modern History: The Khans, the Sultans, and the Czars Nabus Press 2010
[2] 서적 Encyclopedia of Ukraine: Volume III: L-Pf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Scholarly Publishing Division 1993-12-15
[3] 서적 Handbook for Travellers in Russia, Poland, and Finland https://books.google[...] Рипол Классик
[4] 웹사이트 Ukraine orders full military mobilisation over Russia moves https://www.bbc.com/[...] BBC News 2014-03-02
[5] 뉴스 露、クリミア防衛線急ぐ 英国防省分析「最優先の事項」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23-06-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